Spring 간단한 화면 요청 Mapping 과정 코드로 살펴보기

Spring 간단한 화면 요청 Mapping 과정 코드로 살펴보기

크게 3가지 단계를 알아봅니다.

1. 클라이언트가 화면을 요청

2. 화면 Mapping

3. 화면 출력

파일 명은 다를 수 있어요

https://min-it.tistory.com/

위의 프로세스가 실제 코드에서 누구한테 전달되는지 살펴봅니다.

1. 클라이언트의 요청

1.1 web.xml

브라우저의 요청을 가장 먼저 처리함.

인코딩 필터가 존재

DispatcherServlet 경로 및 설정

Serverlet Mapping 설정

Url-pattern

가장 첫번째로 보여줄 페이지 설정

Erroc Code, Error Page

2. 화면 Mapping 과정

2.1 DispatcherServlet.xml

브라우저의 요청을 처리해줄 컨트롤러를 찾고 Mapping 시켜줌

은 어노테이션이 사용된 클래스를 자동으로 스캔하여 bean으로 등록

은 RequestMappingHandlerMapping, RequestMappingHandlerAdapter, ExceptionHandlerExceptionResolver 으로 구성

컨트롤러의 어노테이션을 보고 (@RequestMapping) 처리할 컨트롤러에 던짐

2.2 해당Controller.java

처리해야할 로직이 있으면 Service를 불러서 DB 처리도 하고

ModelAndView를 통해 Model을 생성해 View 던짐

2.3 DispatcherServlet.xml

ViewResolver를 통해 알맞은 View를 찾음 (.jsp) 매칭

prefix, suffix를 통해 내부 경로 생성

2.4 해당 View (.jsp)

화면을 그리고

필요한 로직 수행

2.5 DispatcherServlet.xml

출력할 View를 전달받음

브라우저에 전달

3. 화면 출력

from http://kingpiggylab.tistory.com/215 by ccl(A) rewrite - 2020-03-23 19:54:26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데이터 바인딩 추상화 - propertyEditor

[sts] spring boot groovy 적용 실행 하기

2020 LCK 롤챔스 Spring 경기 재개 및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