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 프로젝트 생성 & 설정
[spring] - 프로젝트 생성 & 설정
java spring crud를 이용한 게시판 만들기 - 프로젝트 생성 및 설정
java spring는 현재 회사를 다니며 사용하고 있으며
회사에서 부족한 부분을 연습하기 위해
기본으로 crud를 이용해 게시판 만을 만들고
oracle과의 데이터 베이스 연동 그리고 ajax를 이용한 비동기 처리 등
데이터 간의 이동과 저장 위주로 진행됩니다
그리고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아 틀린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 프로젝트 시작 전 개발환경 세팅
sts : 3.9.11 https://integer-ji.tistory.com/52
oracle : 11g https://integer-ji.tistory.com/55
java : 1.8 https://integer-ji.tistory.com/49
Tomcat : 8.5.50 https://integer-ji.tistory.com/51
- STS 실행
제가 굳이 설정을 하면 헷갈리기 때문에 Workspace의 경로는 저는 디폴트 값으로 설정해 두었습니다.
아무것도 없는 첫 화면 이어야 하는데 servers에 pivotal이 설치되어있네요
pivotal는 sts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설치가 되어있따고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tomcat를 사용하죠..
그래서 저 또한 tomcat를 사용할 예정이라 pivotal은 안 쓸 겁니다!
이제 프로젝트를 만들어 봅니다.
좌측에 Package explorer에 마우스 우클릭을 한 뒤 New에 Spring Legacy Project를 선택해 줍니다.
project name은 project로 하였고 templates는 spring MVC project를 선택해 줍니다.
Spring Starter Project는 Spring Boot를 이용한 빠른 개발 프레임워크 를 이용한 프로젝트이고
Spring MVC Project를 사용하는 이유는 기본적인 MVC 패턴과 메이븐이 설치되어있어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출처 & 참고 : https://jjunii486.tistory.com/64
이제 package 이름을 정해야 합니다.
com.project.controller로 정해주었습니다.
왜 com아래의 project아래의 controller로 정의해 주었냐면 package는 최소 3 레벨로 구성하게 되어있다고 합니다.
(자바 코딩 규칙)
이제 Finish를 눌러 패키지를 만들어 줍니다.
짜잔 패키지가 완성되었습니다. 하지만 X표가 뜨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ㅜ
패키지를 생성하고 기본환경 세팅을 해주겠습니다.
먼저 pom.xml로 들어가줍니다.
보시면 11번 줄에 java-version이 1.6 버전으로 설정되어있습니다.
저는 1.8버전을 사용하므로 버전을 바꿔줘야 x표시가 사라집니다.
※ springframework-version은 버전이 다른데 수정을 안 한 이유 찾아보기
1.8로 바꾸었습니다. 아직 이게 끝이 아닙니다. 프로젝트의 설정도 바꿔주어야 합니다.
저희가 만든 프로젝트를 우클릭해주어
Properties를 눌러줍니다.
Java Build Path를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눌러주면 JRE버전이 1.6으로 되어있쬬?
JRE를 더블클릭하여 자신이 설치한 1.8 버전으로 바꿔줍시다.
더블클릭 후 Alternate JRE를 눌러 자신의 자바 버전을 설정해주면 되는데
저는 알아서 저렇게 찾아줬네용 바로 있었어요
해당 jdk를 선택 후 확인해 보면
자바 버전이 바뀌었습니다!!
이제는 Project Factes를 눌러줍니다.
이곳에서도 Java의 버전을 1.8로 바꿔줍니다.
짜잔 X 표시가 사라졌습니다. ! 표시는 잠시 뒤로 넣어두고 다음 게시물에서 서버추가와 설정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from http://integer-ji.tistory.com/68 by ccl(A)
댓글
댓글 쓰기